지식

<지식여행> 중세봉건제사회-1

notsun 2021. 1. 24. 13:47

'중세 봉건제사회'는

4세기부터 14세기 무렵

약 천년 정도의 시기입니다.

" 서구 종교의 뿌리 "

 

서구사회의 문화와 역사를

관통하는 근원적인 배경은 크게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두 가지 입니다.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로마에 뿌리를 두고 있는

역사적 사조로서

제우스, 아폴론 등의 다신을 숭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헤브라이즘'은

이스라엘 민족과 유일신인 하나님과의

계약에 대한 역사적 흐름으로

그리스도교와 연관이 있습니다.

 

당시 이스라엘은 로마제국의

식민지였는데, 이곳에서

예수가 탄생하면서

그리스도교가 발생합니다.

 

로마의 박해를 받고 예수는 처형당하며

박해를 받지만,

 

 

로마의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그리스도교를

사실상 로마의 국교로 정립합니다.

 

그리고 그리스도교는

유럽 전체로 그 영향력을 뻗어 나갑니다.

 

" 중세 사회의 계급 "

 

중세 봉건제 사회가 되면서

사회적 계급은 더 다양하고

복잡하게 분화됩니다.

 

국왕

성직자

영주

귀족

기사

농노

노예

 

이 중 가장 중요한 계급은

'영주' 입니다.

 

 

영주는 '장원'을 소유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모든 생산물을

소유하게 됩니다.

 

결국, 장원이

새로운 생산수단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생산수단 아래

'권력'을 갖게 됩니다.

 

영주들간의 권력 싸움으로

자신의 장원을 방어할

'성'이 발달하게 되고,

기사 계급이 발생한 것입니다.

 

 

 

국왕 중심의 중앙집권체계 였던

한반도와 달리

유럽이나 중국, 일본에 '성'이 많은

이유도 그들이 중세를 거쳤기 때문입니다.

 

 

당시 국왕은 신이 아니었고,

신으로부터의 권한은

성직자가 인정해 주었습니다.

 

따라서 국왕은 물질적 측면과

종교적 안정이라는 정신적 측면에서

모든 권력의 정당성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래서 중세가 천년 동안

안정정인 사회가 지속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