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말을 잘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이 네가지만 극복해도 말 잘하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1. 생각의 정리가 안 되어 있는상태에서
그냥 말을 한다.
'말을 구조화' 해두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정리가 안되어 있는 옷장을 생각하면
내가 입고 싶은 옷을 찾기도 어렵고
옷이 구겨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말도 마찬가지로 먼저 하고자 하는 말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서랍장에 이름을 분류하는 것처럼
생각도 분류체계로 정리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먼저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생각하고,
왜 그 주제인지... 그리고
뒷받침하는 근거, 사례를 이야기 하는 등
기본 구조를 익혀두어야 합니다.
여기에 결론을 한번 더 강조해 주면
더 좋은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2. 준비운동을 하지 않는다.
1번이 머리의 준비 상태라면
2번의 준비해야할 것은
몸과 마음의 준비 상태입니다.
운동도 준비운동이 필요하듯이
입술, 혀, 턱 등 많은 근육을 쓰듯이
스트레칭을 하지 않으면
말이 꼬이게 됩니다.
말을 못하는 사람일 수록
긴장을 많이 하기 때문에
'쉼 호흡'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내 말만 늘어 놓는다.
노래방에서 한 사람만 노래하면
지루합니다.
말도 마찬가지로 내 말만 늘어놓으면
듣는 사람 입장에서 지루할 수 밖에 없고
즐거움이 떨어집니다.
상대방의 의견을 듣어주고
내 이야기를 들으면서 상대방이
얻어갈 수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
배려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일방적으로 내 이야기만 하는 것은
말을 잘 하는 것이 아니다.
4.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
대화 중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하고
90%가 비언적 요소라고 합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이 컨택(EYE CONTACT)입니다.
눈은 마음의 창입니다.
눈을 마주치지 않으면 유대감을 얻기가
힘듭니다.
특히 많은 사람과 이야기 할 때는
문단 마다 사람마다 시선을 옮겨가면
자연스럽게 보여질 수 있습니다.
이상 아래 영상을 참조했습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여행> 고대 노예제사회 (0) | 2021.01.24 |
---|---|
<지식여행> 원시 공산사회 (0) | 2021.01.24 |
지식 여행_사회주의란? feat. 공산주의와 구분 (0) | 2021.01.02 |
지식 여행_후기 자본주의와 신 자유주의 (0) | 2021.01.01 |
지식여행_초기자본주의 (0) | 2020.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