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지식여행> 고대 노예제사회

notsun 2021. 1. 24. 11:57

" 생산수단의 변화 "

 

원시 공산사회에서 '생산수단'이 발행한 이후

사회는 계급으로 체계화 되었습니다.

 

지배계층인 왕과 귀족이 나타나고,

피지배계층인 평민과 노예가 구성되었습니다.

 

또한 원시시대와 비교해 큰 변화가 있다면

'생산수단'이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그 생산수단은

더 큰 것이 되었습니다.

 

바로 토지. 영토 입니다.

 

 

토지.영토에서 모든 가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지배층은 거대한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막대한 생산물이 발생하면서

이를 통해 '권력'을 얻었습니다.

 

" 사람의 노동력 "

 

생산수단의 진정한 의미는

그것이 '다른 사람의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되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생산수단은

토지. 영토. 농장 뿐만 아니라

근대에 나타날 공장까지

소유자 혼자 운영할 수 없습니다.

 

결국 노동을 대신할 사람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생산수단의 소유주는

노동력을 이용한 사람에게 대가를 지불하면서

사회적 관계가 왜곡됩니다.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였지만

정작 생산물을 일정량만 갖고

생산수단 소유자와 분배해야 하는 것입니다.

 

" 종교의 탄생 "

 

이러한 지배계층이 발생하면서

기득권층의 권력을 확실히

다지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됩니다.

 

 

결국, 지배자는 신을 부릅니다.

신은 지배자가 사회를 지배할 권력을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고대 노예제 사회는

그 지배 체계를 공공히 하기 위한 수단과

그 독점의 정당성을

종교에서 찾게 됩니다.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로마 등

정치와 종교가 일치했던

제정일치 사회들이 그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