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시장에 대한 신뢰
초기 자본주의는 시기적으로
자본주의가 태동한
산업혁명기, 즉 근대에 시작됨.
애덤스미스는
자유로운 경쟁이 사회 전체의
부를 증진시킨다고 봄.
(시장은 스스로 가격을
조절하며 유지된다는 것)
'보이지 않는 손'
가격을 결정해주는 국가나 신과 같은
절대자는 없으나드러나지 않는 조정
능력에 의해 알아서 결정된다는 것.
결국 상품의 가격은 경쟁으로 인해
인하의 압박을 받지만, 판매자가 망하지
않는 선에서 교묘하게 결정됨.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
초기 자본주의의 문제점
모든 경쟁이 허용되는 자유시장이므로
노장자들도 일자리를 얻기 위해 경쟁해야 하고,
임금 삭감의 압력에 항상 노출됨
또한 노동 환경이 열악해 짐.
가격 결정의 모든 희생이 노동자들이
감수하게 됨
이로 인해 노동자의 임금이 극히 적어지면
소비자의 소비력도 낮아지고
시장에서의 수요도 줄어들게됨
수요가 줄어들면 공급과잉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는 가격 경쟁력을 빌미로
노동자의 임금을 더 삭감
세계 경제대공항
결국 이런 악순환 때문에
세계 경제대공항이 발생하게 됨.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 뉴딜 정책(국가 개입)
러시아:자본주의 폐기, 공산주의 소련이 됨
독일:자본주의 유지, 전쟁 준비
이상은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참조하였습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여행_사회주의란? feat. 공산주의와 구분 (0) | 2021.01.02 |
---|---|
지식 여행_후기 자본주의와 신 자유주의 (0) | 2021.01.01 |
지식여행_독재, 엘리트주의 (0) | 2020.12.30 |
지식 여행_민주주의란? (0) | 2020.12.28 |
지식여행_자본주의 vs 공산주의 차이, 공산주의가 실패한 원인은? (0) | 2020.12.27 |